가정의 달이다. 5월은 5일 어린이날을 비롯하여 8일 어버이날, 15일 성년의 날과 스승의 날, 21일 부부의 날로 이어진다. 그 어느 때보다 가정의 소중함이 피부에 와 닿는 시기이다. 올해 가정의 달도 이혼율의 급증, 가정폭력에 의해 죽임당하는 아이들의 증가 등으로 인해 그 의미가 퇴색하고 있다.

사람에게 가정만큼 안전하고, 소중한 울타리는 없다. 그런데 가정이 파괴되면서 든든한 울타리가 사라진 가족 구성원들은 아무 대책 없이 집 밖에서 배회하고 있다. 인간의 성품은 가장 기초적인 단위인 가정에서 만들어진다. 그래서 가정이 평안해야 사회도 건강하고, 밝아진다. ‘가화만사성’이란 말은 가정이 모든 것의 출발점이라는 것을 말해준다. 그러나 우리사회는 여러 이유에서 위기를 맞는 가정이 갈수록 늘어나 많은 가정이 해체되고 있다.

우리나라 부부의 이혼율은 OECD 국가 중 2위를 차지하고 있다. 심각한 것은 결혼한 지 3년 이내에 이혼하는 부부가 점점 늘고 있는 추세라는 점이다. 결혼의 신성함을 소중하게 여기고 지키기 위해 노력하기 보다는 작은 문제가 생겨도 쉽게 갈라서고 있는 게 현실이다. 예전에는 이혼이 일종의 주홍글씨처럼 평생의 낙인이었다면, 지금은 오히려 참고 사는 사람을 이상하게 생각하는 잘못된 사회적 풍조가 조성됐다.

혼밥, 돌싱, 졸혼 등 가족의 해체를 오히려 반기는 듯한 무책임한 매스미디어의 보도에도 문제가 있다. 부부가 이혼하면서 서로 아이를 맡으려하지 않다보니 대책 없이 복지시설에 맡겨지는 아이도 점점 늘어난다. 과거의 고아원은 전쟁고아들을 수용하는 시설이었다면, 요즘은 가정해체로 갈 곳 없는 아이들을 수용하는 시설로 변했다. 한마디로 부모가 없는 고아가 아니라 부모의 친권 포기로 오갈 데 없는 고아가 양산되고 있다.

이런 아이들이 자라서 청소년기를 겪으면서 자신에 대한 정체성에 반감을 갖게 되고 범죄에 빠지는 예는 비일비재하다. 오늘날 가정이 안고 있는 문제는 여기에 그치지 않는다. 청년층은 구직난에서 오는 극단적인 좌절감에 빠져 있다. 경기침체가 지속되면서 대학을 졸업해도 일자리를 구하지 못해 실업자 대열에 합류하는 게 현실이다. 중장년층은 언제 직장에서 밀려날지 모르는 압박감에 전전긍긍한다.

실직자 신세로 전락한 가장은 또 얼마인가. 경제가 어려위지면서 노인 뿐 아니라 젊은 실업자들까지 허기진 배를 채우기 위해 무료급식소 앞에 길게 늘어선 모습은 우리 사회의 어두운 단면을 보여주고 있다. 5월은 사회적 약자들이라 불리는 다문화가정과 입양가정, 한 부모 가정, 소년소녀가장 가정, 조손가정, 장애인 가정, 기타 보호시설 등에서 어렵게 지내고 있는 많은 사람들에 대한 관심과 배려가 더욱 절실해지는 시기이기도 하다.

정부나 자치단체, 혹은 우리 사회가 매달, 매일 관심을 기울여야 하지만, 늘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지금이야 말로 한국교회가 사회적 봉사에 적극적으로 나서야 할 때이다. 한국교회는 제 배 불리는 데만 열심인 것처럼 매도되어 왔고, 매도되고 있다. 그것은 현대 교회가 구제와 봉사는 뒷전이고 자신을 유지하는데 더 많은 재정을 투자한 결과이다.

흔들리는 가정을 바로 세우지 못하면 사회도, 국가도 위태롭게 된다. 건강한 가정은 그 속에 있는 개인의 행복을 넘어 건강한 사회, 건강한 국가의 기본이 된다. 한국교회가 가정 치유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보다 적극적인 노력을 기울일 때다.

저작권자 © 한국성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